Tale Cue - Voices Beyond My Curtain Music: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감성 프로그레시브 뮤직
728x90

이탈리아 5인조 혼성 프로그레시브록 밴드 [Tale Cue]가 1992년에 발표한 유일한 앨범이다.
초기 마릴리온(Marillion)의 향기를 간직하고 있는 밴드로 르네상스의 애니 헤슬램을 연상시키는 로라 바슬라(Laura Basla)의 애절한 보컬이 인상적이다.
전형적인 이탈리아 감성 아트록으로 어쿠스틱 기타의 멜로디, 현란한 키보드, 장대한 바로크 양식의 악곡 전개로 듣는 사람들을 환상의 세계로 인도한다.
앨범에서 가장 인상적인 곡은 첫곡 Knell.
투명하고 깔끔한 어쿠스틱 기타 도입부 이후에 이어지는 몽환적인 키보드와 로라 바슬라의 호소력 짙은 보컬이 좋다.
이런 분위기로 몇장 더 냈으면 좋겠는데 아쉬운 밴드다.
728x90
반응형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King Crimso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영국 프로그레시브 록과 킹 크림슨을 대표하는 앨범
King Crimso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영국 프로그레시브 록과 킹 크림슨을 대표하는 앨범
2020.12.271969년 킹 크림슨의 데뷔작이자 대표작이자 영국의 프로그래시브 록을 대표하는 앨범이다. 재즈, 클래식, 발라드, 사이키델릭이 혼합된 이 앨범은 컨셉트 앨범으로 완벽한 균형미를 갖췄다. 사이키델릭하고 강렬한 비트의 "21st Century Schizoid man", 목가적이고 서정적인 멜로디의 감성적인 곡 "I Talk To Wind", 킹 크림슨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80년대 음악다방을 지배했던 발라드 "Epitaph", 재즈적인 즉흥연주가 돋보이는 "Moonchild", 클래식적이며 모든 장르의 장점을 혼합시킨 비장하고 웅장한 대곡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까지 프로그래시브 록은 어렵고 지겹다는 편견을 불식시킨다. 동시대의 대곡지향 밴드 Yes, ELP의 음… -
히데(hide): Hide Your Face 히데의 천재성을 꽃피운 첫번째 솔로앨범
히데(hide): Hide Your Face 히데의 천재성을 꽃피운 첫번째 솔로앨범
2020.12.14X재팬의 기타리스트 히데가발표한 첫번째 솔로앨범이다. 밴드시절 들려주지 못한 본인의 음악적 색깔을 솔로앨범에서 다양하게 표현한다. 대부분의 곡이 인더스트리얼 록이지만 중간 중간에 "Eyes Love You"같은 소프트록 곡도 있다. 물론 히데의 명곡은 "Dice", "Scanner"같은 질주감 있는 곡이다. "Doubt"는 히데의 레전드곡일뿐 아니라 일본록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곡이라고 생각한다. 히데 하면 생각나는 곡. 화이트 좀비와 "트렌드 레즈너"의 영향을 많이 받은 듯 한 곡이다. 전형적인 인더스트리얼 록 넘버로 탄탄한 기타리프가 인상적이다. 편곡에 빈틈이 없다. 히데 앨범은 보이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사는 편이라, 같은 앨범이 몇장이 있는지도 제대로 파악이 안된다. 스프레드 비버와 함께한 앨… -
김현철 4집: Who Stepped On It? 발라드와 퓨전 재즈, 리듬 엔 블루스가 어우러진 고품격 어른음악
김현철 4집: Who Stepped On It? 발라드와 퓨전 재즈, 리듬 엔 블루스가 어우러진 고품격 어른음악
2020.11.16동아기획의 총아, 젊은 천재 작곡가 였던 김현철은 한국대중음악계의 작곡가로써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살의 나이에 박학기의 [계절은 이렇게 내리네]로 작곡데뷔를 하고 이후 장필순 1집, [낯선 사람들] 1집의 편곡자로도 참여한다. 싱어송라이터로써 활동도 뛰어났다. 그는 1집의 퓨전재즈와 대중음악을 아우르는 음악성과 2집의 다양한 스펙트럼의 음악들, 3집에서의 본격적인 대중적인 어덜트 컨템포러리. 4집에서 보다 성숙해진 완성형 어른음악을 선보인다. 작곡가 프로듀서로써 유재하의 새로운 버젼이라는 찬사를 들으며 동아기획의 러브콜을 받아 영입된 그는 솔로작업물 뿐만 아니라 이소라, 장혜진과 작업하며 프로듀서의 역량도 증명한다. 그가 작곡가, 프로듀서로써 뛰어난 재능을 가진 아티스트라는건 그 누구도 부… -
라밤바I - OST 불꽃같은 삶을 살아간 로큰롤의 조상
라밤바I - OST 불꽃같은 삶을 살아간 로큰롤의 조상
2020.11.101941년 로스엔젤리스에서 태어난 리치 발렌스(Richard Steven Valenzuera)는 어렵고 힘들었던 유년의 삶을 살았지만 가수의 꿈을 키워갔다. 16세의 젊은 나이에 지역밴드 The Silhouettes 에서 기타리스트로써 밴드생활을 시작했고 나중에는 보컬리스트로 활약하게된다. 1958년 5월 델 파이(Del - Fi) 레코드사 사장 밥 킨( Bob Keane)의 눈에 띄어 계약을 하게되고 음악계에 데뷔해 학창시절 친구였던 도나 루드위그(Donna Ludwig)에 대한 내용의 발라드 곡 "Donna"로 미국 챠트 2위에 오르는 대히트를 기록한다. 뒤이어 맥시코 민요를 개작한 "La Bamba"로 밀리언셀러 레코드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그 시기는 너무도 짧았다. 레코딩 경력을 시…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