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2 - The Joshua Tree: 아일랜드 대표밴드에서 세계 최고 밴드로
728x90
아일랜드 대표밴드에서 세계최고의 밴드가 되기까지 U2는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줬다.
그 첫시작은 이 앨범 The Joshua Tree다.
그들의 디스코그래피에서 War(1983), The Unforgettable Fire(1984) 모두 훌륭한 결과물이지만 얼터너티브 음악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 역사적인 앨범이라는 점에서 본 앨범은 더 특별하다.
전 세계적으로 2,50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U2가 세계적인 밴드로 부상하는데 가장 큰 역활을 했다.
U2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인 저항, 사회적 메세지, 평화, 반전의 메세지를 담고있고 가스펠, 컨트리, 사이키델릭, 블루스를 듣기쉬운 그들만의 멜로디에 녹여 놓았다.
특히 딜레이 기타의 장인 디 엣지의 사운드는 한땀 한땀 수를 놓는 장인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치밀하게 들린다.
With Or Without You에서의 사운드는 영롱하고 아름답다.
비트와 화끈한 록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심심하게 들릴 수 도 있겠지만 상업성에 매몰된 감각적인 록음악이 질릴때 록의 원초적인 저항정신을 U2의 정신으로 녹여낸 이 앨범을 들어보시라. 영혼이 맑아질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U2 - Achtung Baby : 얼터너티브 록의 대부, 세계 1위 밴드의 역작
U2 - Achtung Baby : 얼터너티브 록의 대부, 세계 1위 밴드의 역작
2021.01.25Joshua Tree의 세계적인 흥행 이후 U2는 거대한 공룡밴드가 되었다. 초기의 펑크 음악으로 시작해 진지하고 사회적인 가사, 디엣지의 딜레이가 강조된 몽롱한 기타사운드, 군더더기 없는 스트레이트 록 스타일을 확립한 후 그들은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 된 사운드를 갈망하게 된다. 그 결과물이 바로 Achtung Baby다. 이 앨범을 통해 그들은 일렉트로닉이 가미된 새로운 스타일을 접목시킨다. 그 배후에는 브라이언 이노라는 거물 프로듀서가 있었다. 엠비언트의 창시자 이며 가장 대중적이고 영향력 있는 프로듀서로 칭송받는 그는 마법과 같은 솜씨로 대중적이지만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음악을 구현해냈다. 일렉트릭과 펑크, 사이키델릭, 인더스트리얼까지 아우르는 전방위적인 U2만의 음악을 이 앨범에서 실현시켰다. 그로… -
Alphataurus: Alphataurus 깊은 밤에 반짝이는 별
Alphataurus: Alphataurus 깊은 밤에 반짝이는 별
2021.01.2080년대 쇠락을 걷기 전까지 프로그래시브 락은 이태리와 프랑스, 영국을 중심으로 꽃을 피웠다. 그 중심에 라떼 에 미엘레와 뉴 트롤즈, Yes, ELP등이 있다. 수많은 밴드들이 명멸했지만 30년이 지난 밴드지만 아직까지 들려지고 회자되는 밴드들이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Alphataurus" 같은 밴드다. 1989년 시완레코드 뮤지엄을 만들었던 DJ 성시완씨가 숨겨져있던 보석같은 프로그레시브 록 앨범들을 국내에 라이센스 반으로 공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장에 몇백만원을 넘어가는 희귀반들을 국내에 공개했을때 많은 음악 애호가들이 좋아했고 단순한 락 음악만을 즐겼던 사람들은 이 복잡하고 화려한 예술에 깊이 빠져들었다. 나 또한 그랬다. 시완레코드에서 발매된 뉴트롤즈, 라떼 에 미엘레, PFM의 앨… -
R.D.M: Contaminazione 클래식에 기반한 이탈리아 프로그레시브 록
R.D.M: Contaminazione 클래식에 기반한 이탈리아 프로그레시브 록
2020.12.27로베시오 델라 메달리아(Il Rovescio Della Medaglia)의 프로그레시브 록 앨범으로 꼰타미나지오네(오염)란 타이틀로 1973년 발매되었다. 뉴트롤즈의 명반 콘체르토 그로쏘에서 클래식 편곡을 맡았던 "루이 엔리케 바칼로프"가 참여했다. 바흐에 영향을 받은 듯 많은 곡에서 바흐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자켓에도 바흐의 평균률 클라비에 서곡과 푸가에 영감을 받았다고 적혀있다. 드럼과 키보드, 일렉기타가 추가되었을 뿐 앨범전체가 장엄한 오케스트레이션 편곡과 코러스 대곡지향의 곡들로 바로크 시대의 클래식 음반을 듣는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뉴트롤즈의 "콘체르토 그로쏘", 라떼 에 미엘레의 "마태수난곡"에 비해 가려져있긴 하지만 그 앨범들 만큼이나 화려하고 장엄한 명곡들이 많은 앨범이다. -
King Crimso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영국 프로그레시브 록과 킹 크림슨을 대표하는 앨범
King Crimso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영국 프로그레시브 록과 킹 크림슨을 대표하는 앨범
2020.12.271969년 킹 크림슨의 데뷔작이자 대표작이자 영국의 프로그래시브 록을 대표하는 앨범이다. 재즈, 클래식, 발라드, 사이키델릭이 혼합된 이 앨범은 컨셉트 앨범으로 완벽한 균형미를 갖췄다. 사이키델릭하고 강렬한 비트의 "21st Century Schizoid man", 목가적이고 서정적인 멜로디의 감성적인 곡 "I Talk To Wind", 킹 크림슨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80년대 음악다방을 지배했던 발라드 "Epitaph", 재즈적인 즉흥연주가 돋보이는 "Moonchild", 클래식적이며 모든 장르의 장점을 혼합시킨 비장하고 웅장한 대곡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까지 프로그래시브 록은 어렵고 지겹다는 편견을 불식시킨다. 동시대의 대곡지향 밴드 Yes, ELP의 음…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