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드 레이서 - 가족 VS 거대자본
728x90
나는 이영화를 가족VS거대자본의 대결로 보았는데, 영화의 가장 핵심적인 갈등요소가 거대그룹[로열튼]과 스피드 레이서의 [가족]이기 때문이다.
스피드가 로열튼 회장(로저 앨럼)의 스카우트 제의를 거절하기전까지는 아무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그 거절이 로열튼 회장의 분노를 사면서 스피드 가족에게 위기가 닥친 것이다.
스피드는 아무런 잘못이 없는데 로열튼의 완력에 의해 가족이 운영하는 회사의 주가는 추락하고 스피드는 이에대한 보복을 하기위해 태조와 레이서X와 손을 잡고 죽음의 경주 "카사크리스토 5000"에 출전한다.
로열튼 회장과 그를 추종하는 무리들은 레이싱을 "산업"이라고 주장한다. 레이싱은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라 자본의 논리에 의해 지배당하는 하나의 산업일 뿐이라는 얘기는 스피드로 인하여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데 이는 그의 가치관이 레이싱을 자신의 꿈과 열정을 쏫아 붓는 스포츠이자 직업을 넘어선 존재이유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는 거대그룹 로열튼의 힘에 짓눌려 그는 절망하게 된다.
그러나 결국은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고 반면 레이싱을 자신의 회사의 이익과 홍보를 위해 이용하고 심지어는 승부조차 조작했던 로열튼의 모든 계획은 좌절되기에 이른다(전형적인 권선징악의 스토리가 원작이 만화라는 걸 세삼 실감하게 한다).
이점이 영화 스피드 레이서에서 주목해서 봐야할 부분이다.
제도적 부조리에 저항하고, 자신의 존재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행복해지기 위해 자신을 투신하는 것.
아이들의 꿈과 희망은 폐기된채 성장이데올로기에 지배당하는 시대, 개발과 발전이라는 키워드가 세상을 지배하는 이 시대에 영화 [스피드레이서]에서 주인공 스피드의 로열튼에 대한 저항은 그런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아~ 놔 닥코 ㅠㅠ
아~ 놔 닥코 ㅠㅠ
2008.06.25홍대씬의 서태지와 아이들 이라고 불리웠던 "닥터코어911"의 새 앨범이 나왔다. 1집 [비정산조]이후 8년만의 앨범인데 이때까지 질곡도 많았다. 답십리안이 서태지 밴드로 가버리고 쭈니가 잠시 넥스트 활동을 했었고 다른 멤버들도 상상밴드, 디스코트럭, 퍼필등의 활동을 했었다. 그런 그들의 날선 Rock Spirit이 세월에 무뎌졌을까? 이번 닥코의 앨범은 적쟎이 당황스러웠다. 앨범을 집어들때부터 이번앨범에는 어떤 강력한 넘버가 들어있을까? 라는 설래임을 가졌었는데 첫곡을 들을때 아~ 놔 ㅜㅜ 그 황당함이란…. 이건 산삼인줄 알고 샀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내용물이 도라지 일때 느끼는 당혹스러움과 비슷하다. 분명 나는 "닥코"의 앨범을 샀는데 "이건 뭐지?" 헤비에서의 그 멋진 공연, 펜타포트에서의 광란… -
에밀길렐스 베토벤 피아노소나타집
에밀길렐스 베토벤 피아노소나타집
2008.05.21에밀 길렐스의 베토벤 피아노소나타집으로 30곡이 수록되어있다. 초기에 나올때는 DG판으로 27곡으로 발매되었는데, 후에 에로이카변주곡과 선제후 소나타 2곡이 추가되었다. 에밀 길렐스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에 특별한 애착을 가졌었다고 전해지는데 그가 죽기전까지 녹음한 앨범이 이 앨범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면서 결국은 1,9,22,24,32번이 빠지게 되었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에 뛰어난 연주자라면 박하우스, 리히터, 폴리니정도를 들수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길렐스는 견고하면서도 강력한 연주를 들려주는데, 그의 "강철타건"이란 별명답게 곡곡마다 엄청난 힘이 느껴진다. 23번 Appassionata "열정" 소나타는 리히터의 연주가 가장 열정적인 연주로 평가 받고 있지만 길렐스의 연주도 좋다. 리히터… -
Duke Jordan - Flight To Denmark
Duke Jordan - Flight To Denmark
2008.05.04하드밥 계열의 연주를 하는 재즈 피아니스트 로서 기본에 충실하고 서정적인 그의연주는 재즈 입문자들에게 많이 추천되는데 듀크조단의 앨범중에 대중적인 측면에서 봤을때 가장 훌륭한 앨범은 단연 Flight To Denmark일 것이다. No Problem은 재즈를 모르는 사람들도 한번쯤 접해봤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고,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Glad I Met Pat은 맑고 청명한 피아노가 자켓에 그려진 설원의 그림을 연상시킬 만큼 깨끗하고 순수하다. 글쎄, 그의 음악은 아름답다고 표현하기에도 부족할 만한 그 무엇인가가 있다. 그것이 어떤 이에게는 사랑의 감정에 대한 아름다움 일수도 있겠고, 어떤이에게는 따뜻한 오후에 내리쬐는 햇살일 수도, 어떤이에게는 첫눈의 반가움과 기쁨일 수도 있겠다. 마일스 데이비스는… -
Duke Jordan - Flight To Jordan
Duke Jordan - Flight To Jordan
2008.05.04명징하고 부드러운 피아노 선율, 깔끔한 연주. 테크닉이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에 재즈팬들에게 임팩트를 주는 연주자 중에 단연 첫 손가락에 꼽힐만한 아티스트가 바로 듀크 조던 일 것이다. 그의 최대 히트작은 Flight to Denmark이지만 이 앨범이 AMG Rating ★★★★★ 별다섯개를 단것을 보면 본작의 가치는 짐작하고도 남음일것. 모든 곡들이 차분하고 편안한데 특히 Star Brite에서 Dizzy Reece의 서정적 트럼펫 연주가 인상적이다. Flight to Denmark앨범에 비해 선이 굵고 힘있는 연주를 들려준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