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같이 쌀쌀한 크리스마스 이브엔... Tom Waits가 제격!
728x90
어제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차에서 듣다가
로큰롤 명예의전당에 Tom Waits 횽이 헌정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진작에 됐어야 할 인물인데 이제 된거야?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 인물 선정기준이 꽤 까다로운 모양이다.
이번에 Neil Diamond도 헌정됐다는데 아쉽게도 Bon Jovi는 후보에 있었는데 안된 모양이다.
그래서 Neil Diamond가 "Bon Jovi는 아직 젊으니까 다음번에도 기회가 있다. 자신이 이번에 헌정되게 되서 너무 기쁘다"고 말했단다. 그래, Bon Jovi는 아직 젊으니까. 61년생이라지?
아... 이얘기 할려는게 아니고, 철수횽이 Tom Waits곡을 선곡해 줬는데 차 세워놓고 멍때리면서 한참이나 듣고 있었다.
Tom Waits -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제목이 범상치 않은데 노래도 그렇다. 심플한 피아노 선율에 Tom Waits의 허스키한 목소리... 아아~ 허름한 선술집이 생각나~ ㅎ. 라이브 영상도 봤는데 포스가 아주 쩔어주심. 오늘같은 크리스마스 이브에 이런 분위기 있는 곡이 좋다.
근데 가사... 아오... 너무 슬프네 -_-;;;
728x90
반응형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Dark Tranquillity - Damage Done
Dark Tranquillity - Damage Done
2011.03.15광폭한 데스메탈에 서정성을 절묘하게 입힌 Dark Tranquillity 일명 닭트랭. 역시나 멜데스의 본진 북유럽 스웨덴 예테보리 출신. 이들의 앨범중 단 한장을 꼽으라면 누구나가 꼽는 캐 명반. 본인에게는 이 앨범과 Fiction이 있는데 이 앨범을 더 많이 듣게된다. 20년 가까운 세월동안 끊임없이 마르지 않는 창작열을 불태우며 "우리에게 망작은 없다"는 위엄돋는 진실을 온몸으로 증명해낸 그들. 특히 처절하게 울부짖는 보컬을 아우르는 아름다운 멜로디의 기타를 듣노라면 정말 전율이 짜르르 온다. 누구 말마따나 닭트랭은 "닥치고 틀어"어 준말. ㅎㅎ -
2Pac - All Eyez On Me
2Pac - All Eyez On Me
2011.01.152Pac. 웨스트코스트를 대표하는 힙합뮤지션. 1996년 9월 13일. 가슴의 두발의 치명적인 총탄을 맞고 두 차례 수술을 받았지만 숨을 거뒀던 그. 그가 남긴 최고의 명반. Dr. DRE와 Daz가 참여해 뛰어난 완성도를 보인 앨범. 랩이면 랩, 비트면 비트, 멜로디면 멜로디 어디하나 빠지는게 없다. 단지 두장의 씨디중 어느 씨디가 좋으냐 그런 차이가 존재한다면 할까…. 모든 MC들의 귀감이 될 힙합의 교과서. 2Pac - Ambitionz Az A Ridah -
Jethro Tull - Aqualung
Jethro Tull - Aqualung
2010.12.13새벽1시 전영혁의 음악세계의 시작을 알리는 Jethro Tull의 "Elegy"가 어둑한 방안에 아련하게 울려퍼질때면 가슴이 설래곤 했었다. 오늘은 어떤 음악이 소개될까? 어떤 뮤지션이 소개될까? 그렇게 알게모르게 Jethro Tull의 노래는 나의 고등학교 시절을 지배했다. 이후 어느 음악잡지 명반 코너에 Beatles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와 함께 오른(오래된 기억이지만 당시 롤링스톤즈지 선정 100대 명반안에 Jethro Tull의 앨범이 다수 포함되어있었던 기억이 난다) [Song From The Wood]를 구입하게 된다. 당시 나는 록음악에 아주 심취해 있었기에 포크적이고 난해한 음악에 실망하게 되고 그 이후부터 Jethro Tull의 음반은 … -
Budgie - In For The Kill
Budgie - In For The Kill
2010.09.06Budgie의 In For The Kill은 1974년에 발표된 세번째 앨범이자 [Never Turn Your Back On A Friend]와 함께 명작으로 꼽히는 앨범이다. [Never Turn Your Back On A Friend]에 Parents와 Breadfan이 있다면 이 앨범엔 In For The Kill과 Zoom Club이 있다. 전체적으로 전작과 같은 드라마틱한 곡전개, 변화무쌍한 리듬과 리프는 없지만 비교적 안정적이고 깔끔하게 정돈된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다. 그래도 Budgie답게 끈적끈적한 블루지한 사운드와 강력한 하드록 사운드는 결코 이 앨범을 쉽게 지나칠 수 없게 만든다. 이 앨범 이후로 하향곡선을 그리다가 결국 1982년 [Deliver Us From Evil]을 끝으로 해체…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